설문조사(survey)에서 질문의 유형 & 문항 작성할 때 유의할 점을 살펴보자
사회조사에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다. 이번 시간에는 그중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알아보려고 한다. 먼저, 설문조사(survey)에 대한 개념을 이해해보자.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은 주로 우편을 이용한다. 자기 기입식 조사라고도 부른다. 설문지를 이용하면 시간과 비용이 줄어들기 때문에 많은 연구자가 사용하는 방법이다. 설문지의 질문 형식은 개방형 질문과 폐쇄형 질문이 있다. 개방형 질문은 대답을 주관식으로 기입하는 방식이다. 선택지를 주지 않고 설문 대상자가 원하는 대답을 직접 쓴다. 폐쇄형 질문은 선택 문항이 있고, 설문 대상자가 문항에서 답을 고른다. 질문의 유형에는 행렬형 질문도 있다. 행렬형 질문은 둘 이상의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이 공통된 응답 범주를 가질 때 결합하는 방식이다. 가로에는 문항을 쓰고 세로에는 응답 범주를 배치한다. 사회조사에서 리커트 척도가 주로 행렬형으로 질문지를 구성한다. 그리고 수반형 질문(contingency question)이 있다. 수반형 질문은 응답자가 한 문항에 응답하면 그에 따라 각기 다른 질문을 해야 할 경우에 사용되는 질문 방식이다. 연구자는 조사 과정에서 신뢰도 높은 결과를 위해 설문 문항을 유의해서 작성해야 한다. 먼저, 질문 자체가 명확해야 한다. 질문이 무엇을 묻고자 하는지 정확해야 조사 대상자가 잘 이해하고 답을 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연구자는 이중 질문을 하지 않도록 문항을 작성해야 한다. 한 질문에는 반드시 하나의 대답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리고 문항이 특정한 대답을 유도하는 질문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질문은 짧고 간결하게 작성한다. 민감한 용어나 부정적인 문항은 피해야 한다. 이러한 단어를 사용하게 되면 설문 대상자의 응답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개방형 질문이 너무 많지 않도록 문항 수를 고려해야 한다. 설문지의 문항을 구성할 때에도 연구자가 따라야 하는 지침이 있다. 연구자는 설문 대상자들이 끝까지 설문지 작성을 완료할 수 있도록 잘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흥미롭거나 쉽고 일반적인 질문을 앞에 배치한다. 그리고 특수하고 개방적인 질문은 뒤에 배치한다. 설문 대상자가 처음부터 민감한 질문을 마주하게 되면 설문지 작성에 의욕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질문의 길이와 유형을 다양하게 작성해서 설문 대상자가 지루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연구자는 신뢰도를 위한 문항을 떨어트려 배치한다. 사회조사에서 측정의 신뢰도는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신뢰도는 측정값 사이의 일관성을 뜻한다. 설문의 응답을 높이려면 연구자가 해야 할 일을 알아보자. 연구자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해 설문의 목적과 중요성을 설명해야 한다. 그리고 신뢰할만한 연구 책임자와 기관을 명시한다. 설문 대상자의 익명성과 비밀을 보장한다. 설문 작성에 필요한 시간을 미리 대상자에게 알려서 조사 대상자가 지나치게 부담을 갖지 않도록 한다. 반송이 편리하면 응답률이 더 높아진다.
면접조사(interview)의 종류와 장단점을 알아보자
면접조사에는 표준화 면접, 준표준화 면접, 비표준화 면접이 있다. 표준화되는 정도에 따라 나뉜다. 첫 번째, 표준화 면접이 있다. 구조화된 면접이라고도 부른다. 표준화 면접은 면접 조사표를 통해 질문 문항, 질문 순서, 어조까지 정확하게 지켜서 진행한다. 표준화 면접의 장점은 구조화되어 있기 때문에 자료를 부호화하기 쉽다. 그리고 자료를 수집하는 데 일관성과 신뢰성이 있다. 따라서 연구자가 자료 수집 결과를 비교하는 데 편리하다. 면접 조사표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덜 훈련된 면접자가 활용하기 쉽다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미리 정해진 조사표를 따라야 하기 때문에 융통성이 없다고 지적받는다. 응답을 좀 더 깊게 탐색하려는 면접자의 자율성과 재량을 허용하지 않는다. 또, 시간과 경비가 많이 든다. 두 번째, 준표준화 면접이 있다. 반구조화 면접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표준화 면접과 비표준화 면접의 중간 수준이고, 면접 지침을 사용한다. 세 번째, 비표준화 면접이 있다. 구조화되지 않은 면접으로 숙련된 면접자에게 가장 적합하다. 이 방법은 연구 문제의 범위만 결정하고 질문 순서나 내용은 모두 면접자가 융통성 있게 정한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자의 재량을 가장 많이 인정하는 방식이다. 구조화 면접에 비해 신뢰도는 떨어진다. 하지만 타당도는 훨씬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면접 결과를 정리하고 부호화하는 과정에 시간과 인력,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가설을 검증하거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과학적인 방법에는 부적합하다.
'사회복지직 공무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래드쇼의 욕구 유형과 욕구 조사의 종류 (0) | 2022.07.13 |
---|---|
자료 수집 방법 2탄! 관찰 & 2차 자료 분석 (0) | 2022.07.11 |
측정 수준을 이해하고 조사 척도의 유형을 살펴보자 (0) | 2022.07.09 |
표본추출과 표집방법에 대해 정확하게 배워보자 (0) | 2022.07.08 |
사회복지 조사설계 part2. 외적타당도와 설계 유형 (0) | 2022.07.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