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직 공무원

자료 수집 방법 2탄! 관찰 & 2차 자료 분석

by 공부0909 2022. 7. 11.

관찰을 통한 사회조사의 장단점을 분석해보자

 

설문조사와 면접 외에도 연구자는 직접 관찰하면서 사회 조사의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연구 대상을 직접 관찰하면 대상의 비언어적 행동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기 쉽다. 특히 어린이나 장애인처럼 언어 표현이 부족한 대상을 관찰할 때 매우 효과적이다. 언어가 다른 인종이나 부족을 연구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관찰은 연구 대상의 태도가 모호한 경우에도 유용하다. 특정 질문에 대해 응답자가 자신이 어떤 태도나 감정을 갖는지 스스로 잘 모를 수도 있다. 혹은 응답자가 질문의 의도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어려울 때도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연구자는 대상을 관찰하면서 연구 대상의 무의식적 행동을 측정할 수 있다. 연구 대상이 면접을 거부하거니 비협조적일 때도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다. 관찰은 조사의 현장성과 즉시성을 바탕으로 한다. 응답자의 행위가 일어나는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사실을 관찰할 수 있다. 연구자는 응답 과정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연구 대상의 행동으로 나타난 것을 관찰하기 때문에 응답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관찰은 개인이나 집단의 정보를 얻는 방법으로 유용하다. 관찰은 특히 질적 조사나 탐색 연구에 많이 쓰인다. 이와 같이 관찰은 여러 장점이 있다. 하지만 단점도 존재한다. 관찰은 행동으로 나타난 것을 있는 그대로 탐색하기 때문에 계량화하는 것이 어렵다. 그리고 관찰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될 가능성이 있다. 둘 이상의 관찰자가 자료를 수집한다면 그 자료를 비교하기 어렵다는 한계도 있다. 계량이 안 되기 때문에 신뢰도를 검증하기 어렵다. 그리고 자연적인 환경에서 자료를 수집하는 관찰은 외생변수를 거의 통제할 수 없다. 또 관찰 대상이 되는 행위를 포착하기 위해 여러 현장을 찾아다녀야 한다. 그리고 연구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행위가 언제 나타날지 알 수가 없다. 따라서 시간과 비용이 매우 많이 든다. 관찰의 표본 수가 적기 때문에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관찰자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관찰자 효과는 누군가 자신을 관찰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면 평소와 다르게 행동하는 경향을 말한다. 관찰 대상이 연구자를 인식하는 순간 행동에 왜곡이 나타나서 연구자가 원하는 행위를 관찰할 수 없거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또 사람의 행동은 다양성과 가변성을 가지기 때문에 관찰을 통해 얻은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제약이 있다. 사회조사에서 연구자가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려면 장단점을 잘 파악하고 사용해야 한다.

 

 

 

 

 

 

 

직접 자료를 구할 수 없다면 2차 자료를 분석하라

 

연구자가 설문, 관찰, 면접을 통해 직접 수집한 자료는 1차 자료다. 만약 연구자가 직접 자료를 구하기 어렵다면, 2차 자료를 분석할 수 있다. 2차 자료는 기존에 이미 누군가가 다른 목적을 위해 수집해놓은 자료를 말한다. 정부나 연구소와 같은 공식 기관에서 만든 자료, 책, 행정 자료가 있다. 2차 자료를 분석하면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대규모 사례를 분석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장기간 변화의 추이를 분석하기에 적합하다. 2차 자료는 자료를 수집하는 데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정부나 연구소 등의 믿을 수 있는 통계 자료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지금은 알 수 없는 과거의 사건과 기록에 대한 자료를 수집할 때 유용하다. 하지만 2차 자료를 사용한 자료 수집 방법도 단점이 존재한다. 우선 2차 자료가 과거에 이미 수집한 자료이기 때문에 연구자의 현재 연구 목적에 맞는 최신 2차 자료를 구하기 어렵다. 그리고 연구 당시의 자료의 신뢰도나 타당도를 알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럴 경우 자료 자체에 대한 신뢰를 검증할 수 없기 때문에 연구자의 연구 결과를 정당화하기 어렵다. 그리고 기존의 자료의 실제 현황 사이에 차이가 존재할 수도 있다. 기존의 자료를 수집할 당시의 과정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나타나지 않은 현상이나 내용에 대해서는 더 자세히 알 수 없다. 그리고 매우 오래된 자료의 경우 2차 자료를 연구했던 연구자를 만날 수 없기 때문에 자료에 대한 궁금증이나 의문이 생겨도 해소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