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직 공무원

과학적인 방법과 사회과학 연구 방법

by 공부0909 2022. 7. 3.

과학적인 방법의 특징을 정리하자

 

과학적인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먼저, 잠정적인 지식을 추구한다. 이는 잠정적인 결론이라는 가설을 의미한다. 가설은 검증되기 전까지는 언제나 반증 가능성에 열려있다. 모든 이론은 여러 번 반복하여 검증을 거친다. 이론은 재연과 반복을 통해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과학적인 방법은 가치중립적이고 객관적인 연구를 지향한다. 과학에서의 '객관성'은 이 이론에 관해 관심을 갖는 사람들끼리 상호 주관성을 얻는 것이다. 과학은 사실(fact)을 추구한다. 따라서 가치, 윤리, 규범, 철학, 신념과 같은 형이상적이고 경험으로 증명할 수 없는 것들을 다루지 않는다. 왜냐하면 과학이 경험적인 증거에 기반해서 지식을 탐구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방법을 이용한다. 논리적인 전개 과정을 통해 이론을 검증한다. 과학적인 방법은 모든 현상이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갖는다고 여긴다. 현상을 관찰할 때도 규칙성을 밝히거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데 주목한다. 하지만 개별적인 사례를 하나하나 분석하기보다는 일반화할 수 있는 보편타당한 지식을 선호한다. 과학적인 추론 방법에는 연역법과 귀납법이 있다. 연역법은 일반적인 것에서 특수한 것을 추론한다. 실증주의 연구 방법에서 주로 양적 조사를 할 때 사용되는 방법이다. 어떤 이론을 검증하려고 할 때, 연구자는 먼저 가설을 세운다. 가설을 구성하는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한다. 개념의 조작적 정의는 그 개념을 측정할 수 있는 변수로 전환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경험적인 관찰을 통해 이론을 측정한다. 관찰된 결과를 바탕으로 가설을 검증해본다. 검증된 가설이 참으로 판명되면 그 가설은 수용되는 것이다. 만약 가설이 거짓으로 판단되면, 연구자는 가설을 기각한다. 그리고 기각된 가설을 수정하여 다시 검증할 수 있다. 귀납법은 연역법과 반대로, 개별적인 사실들을 관찰하여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한다. 연구자는 먼저 여러 개별 사례를 경험적으로 관찰한다. 그리고 관찰된 사실들을 바탕으로 일정한 유형을 발견한다. 많은 개별적 관찰들이 모이면 그 이론은 잠정적인 결론이 된다. 해석적인 연구 방법에서 질적 조사를 할 때 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귀납법은 반대되는 사례가 나타나면 결론이 바뀔 수 있다.

 

 

 

 

 

 

사회과학을 연구하는 다섯 가지 방법!

 

사회과학을 연구하는 방법에는 다섯 가지가 있다. 첫 번째, 실증주의 방법이다. 실증주의는 과학과 과학이 아닌 것을 철저히 구분한다. 그래서 사회과학을 자연과학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일원론적 방법론을 강조한다. 경험적인 관찰을 통해 이론을 검증해야 한다고 말한다. 관찰한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다고 믿으며, 결론을 뒷받침할 여러 표본을 수집한다. 객관적인 실재가 있다고 생각하고 연구 방법에서 객관성을 지향한다. 자연과학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확률적인 법칙을 강조한다. 사회 현상에 대해 직접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믿는다. 사회과학을 수치로 분석하고 양적 조사를 선호한다. 연구 방법은 보편적인 분석이 가능한 도구만 인정한다. 그래야 관찰 후 결론을 일반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해석적인 방법이다. 해석적 방법은 실증주의와 반대로 사회과학을 자연과학과 같은 방법으로 탐구하는 것을 반대한다. 그래서 보편적인 분석 도구를 부정한다. 사회과학을 구성하는 단일한 실재는 없다고 믿는다. 사회는 사람들에 의해 구성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상을 경험한 사람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말한다. 사회적 행위의 주관적인 의미에 주목한다. 사회적인 행동과 개인의 경험을 '행위자' 그 자체의 입장에서 이해하여야 한다고 본다. 그래서 현상보다 현상을 연구하는 연구자의 가치나 태도를 활용한다. 해석적 방법론자들은 사회적인 맥락을 관찰하고 질적 조사를 선호한다. 세 번째, 후기 실증주의 방법이다. 후기 실증주의는 실증주의를 계승한다. 하지만 실증주의와 달리 관찰과 측정이 절대적으로 객관적일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한다. 따라서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사실에 대해 최대한 확증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한다. 그들은 기존 연구를 여러 번 반복해서 재현한다. 그러므로 그 이론을 반증하려고 노력한다. 계속 반증을 시도했으나 연구가 타당하게 재현된다면, 그 결론은 참이 되는 것이다. 지식의 내용보다는 지식을 탐구하는 방법을 더 중요시한다. 네 번째, 비판적 사회과학 방법이다. 비판적 사회과학을 추구하는 연구자들은 연구의 목적이 집단의 역량 강화와 사회 변화에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해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다섯 번째, 포스트모더니즘(post modernism)이다. 그들은 모든 것을 주관적이라고 여긴다. 객관적인 실재나 진리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과학적인 검증 방법을 부정한다. 주관적인 지식 탐구에 더 주목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