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직 공무원

사회복지 발달사 : 영국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운동

by 공부0909 2022. 6. 27.

영국의 민간 복지

 

봉건사회에서 자본주의 사회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민간 복지가 등장했다. 대표적으로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운동이 있다.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운동은 모두 빈민 구제를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기본적인 입장과 가치관, 방식에 차이가 있다. 이 두 조직 외에도 우애 협회(Friendly Society)와 협동조합(Cooperative)이 있다. 우애 협회는 19세기 공제 조합이다. 공제 조합은 질병, 사망, 노령으로부터 노동자를 보호한다. 노동자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상호부조 조직이다. 우애 협회에서 가장 중요한 정신은 '진정한 상호주의 (Genuine Reciprocity)'이다. 조합원은 정기적으로 부금을 납부한다. 연말 배당금과 질병 급여, 사망 급여, 노후 서비스를 받았다. 협동조합은 경제적으로 소외된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모인 경제 조직이다. 이들은 스스로 자신의 처지를 개선하고자 모였다. 자본주의의 발달 과정에서 생긴 빈부 격차, 실업, 저임금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다. 

 

자선조직협회 (COS, Charity Organization Society)

 

19세기 런던에는 많은 자선단체가 존재했다. 그러나 이들 자선단체 간에 협력이 없었다. 활동 내용을 공유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와 무분별한 자선의 문제가 발생했다. 자선조직협회는 1869년 런던에서 세계 최초의 자선조직협회(COS)가 설립되었다. 자선단체들 간의 협력과 정보 교환을 통해 자선의 효율성을 높이는 활동을 했다. 중복 구빈을 없애고 빈민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빈민의 생활 조건이 향상했다. 자선조직협회는 빈곤의 원인을 사회구조가 아니라 개인의 성격적 결함과 나태함이라고 보았다. 당시 사회진화론과 적자생존의 이념의 반영된 것이다. 빈민도 근면, 자조, 검약을 행하면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보았다. 성격과 생활 습관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빈곤 구제의 핵심은 빈민의 변화라고 주장했다. 국가 개입을 통한 공적 구제를 반대하고 민간을 통한 구제에 찬성했다. 우애 방문원들이 빈민의 가정을 방문하여 가정 조사를 통해 원조를 제공하였다. 자산조사와 상태 조사를 실시해서 자선의 과학화를 추구했다. 원조 가치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클라이언트의 자립에 도움을 주었다. 우애 방문원들은 빈민의 도덕성을 교화하고자 했다. 도움받을 자격이 있는 빈민을 구분하여 구제 대상을 정하였다. 도울 가치가 있는 빈민은 선량하고 근검절약하며 자활 의지가 있는 사람들이다. 지역사회의 주요 인사의 증언을 참고하였다. 도울 가치가 없는 빈민은 낭비하고 비양심적이며 음주가 잦은 사람들이다. 자선조직협회의 의의는 7가지가 있다. 첫 번째, 과학적 자선에 기여하였다. 두 번째, 사회조사 기술의 발전을 도모하였다. 세 번째, 사회사업 종사자의 훈련에 기여하였다. 네 번째, 산발적이고 자의적이던 구제 사업을 조정하였다. 다섯 번째, 개별 사회사업을 발전시켰다. 우애 방문원에 의한 면밀한 조사, 대상자 선정 과정을 통해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축적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선활동이 전문적인 사회복지 활동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여섯 번째, 가족복지 사업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일곱 번째, 지역의 자선단체와 기관을 조직화하였다. 지역사회 조직사업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인보관 운동(Settlement House = Settlement Movement)

 

인보관 운동은 도시 빈곤을 해결하기 위해 지식인이 그 지역에 현지 정착해 함께 살면서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하는 운동이다. 지역사회의 빈곤, 비위생을 해결하고 했다. 지역주민이 문제라고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도 해결하도록 노력했다. 인보관은 빈곤을 사회적인 문제로 보았다. 빈곤이 국가의 적극적 개입과 사회개혁을 통해 해결된다고 생각했다. 빈곤과 고통의 원인이 주로 환경적인 요인에 있다고 보았다. 주택, 공중 보건, 고용 착취 등 환경 개선 활동에 주력했다. 빈곤 지역에서 지역 환경을 조사하고 빈민 보호를 위한 조직화 운동을 하였다. 입법 활동을 통한 사회개혁에 힘썼다. 인보관 운동의 의의는 4가지가 있다. 첫 번째, 집단 사회복지 발전의 기초가 되었다. 두 번째, 지역사회복지(Community welfare)의 기본적인 모형을 제공하였다. 인보관은 지역사회복지관의 시초이다. 세 번째, 사회조사를 통해 다수의 통계자료를 산출했다. 이를 법률 제정에 활용하였다. 사회복지조사와 사회복지정책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네 번째, 인보관 운동은 사회복지 실천 모델 중 권한 부여 모델(Empowerment model)의 기원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