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주의 이론의 공통적인 입장
파블로프와 스키너는 둘 다 행동주의 학자다. 두 학자를 배우기 전에 먼저 행동주의 이론에서 주장하는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행동주의에서 인간은 외적인 환경 자극에 의해 행동한다. 인간의 행동은 학습의 결과이며 학습을 통해 수정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행동주의는 모든 인간의 행동에 주목하는 것은 아니다. 관찰할 수 있는 외적인 행동에 초점을 둔다. 따라서 인간이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생각들에 관해서는 관심이 없다. 인간의 행동은 과거의 요인보다 현재 결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본다. 파블로프와 스키너는 환경 결정론을 지지한다. 인간의 행동이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는 입장이다. 행동주의는 환경의 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기반으로 사회복지 실천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사회복지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행동 수정 기법들을 제공했다. 행동 조성 기법, 토큰 경제 기법 등이 있다. 스키너는 행동을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반응적 행동과 조작적 행동이다. 먼저 반응적 행동은 자극에 의해 직접적으로 유발되는 자동적인 반응이다. 음식의 냄새를 맡으면 입에 침이 고이는 것과 같은 반응이다. 파블로프는 반응적 행동의 조건화 원리를 제시했다. 이것이 바로 고전적인 조건화 원리다. 조작적 행동은 유기체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는 반응이다. 시험에 대비해서 공부하는 것, 학교에서 내준 과제를 수행하는 것 등의 예시가 있다. 스키너는 조작적 행동의 조건화 원리를 제시했다. 이 원리가 조작적 조건화 원리다.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파블로프는 고전적 조건화 원리를 제시했다. 반응적 조건화라고도 부른다. 먼저 개념을 정리하자. 중립 자극은 아무 반응도 나타나지 않는 자극이다. 무조건 자극은 무조건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이다. 침을 분비하게 만드는 음식을 의미한다. 무조건 반응은 유기체가 어떤 자극에 자동으로 반응하는 것을 말한다. 즉, 무조건 자극에 의해 무조건 반응이 나타나는 것이다. 조건 자극은 무조건 자극과 연결해 새로운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이다. 원래는 중립 자극이었으나 무조건 자극과 함께 학습을 통해 자극이 된 것을 말한다. 조건반응은 조건 자극에 의해 새롭게 형성된 반응이다. 이것을 설명하는 것이 바로 유명한 파블로프의 개 실험이다. 개에게 종소리는 원래 중립 자극이었다. 하지만 개에게 음식을 줄 때마다 종소리를 울리는 행동을 반복해보도록 하자. 그러면 개는 여러 번의 학습을 거친 다음 종소리만 듣고도 타액을 분비하게 된다. 이는 타액 분비를 유발하는 음식과 종소리가 결합하여 조건화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중립 자극이었던 종소리가 조건화를 통해 조건 자극이 된 것이다.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스키너는 인간 행동은 그 행동의 결과에 의해 조건화된다고 말한다. 즉, 사람이 어떤 행동을 했을 때 보상이나 처벌을 받게 되면 그 행동이 조건화되는 것이다. 행동의 조건화 과정은 ABC 패러다임을 따른다. A는 선행 자극, B는 행동, C는 결과이다. 인간 행동은 외적 자극, 특히 보상과 처벌의 영향을 받는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인간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인간 행동에 대한 기계적 환경 결정론이다. 이러한 결정론적 입장은 인간의 자유 의지를 무시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스키너는 '강화'와 '처벌'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강화는 어떤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강화에는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가 있다. 정적 강화는 유쾌한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그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형이 동생을 돌보는 행동을 하자 엄마가 형을 칭찬을 해주었다. 그러면 형은 동생을 더 자주 돌보게 된다는 것이다. 부적 강화는 혐오스러운 결과를 제거함으로써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학생이 숙제를 잘 해왔다고 하자. 선생님이 숙제를 해온 학생은 내일 숙제를 면제해준다고 말한다. 그러면 다음에도 학생은 숙제를 잘 해올 것이다. 처벌은 어떤 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처벌에는 정적 처벌과 부적 처벌이 있다. 정적 처벌은 혐오스러운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행동의 빈도를 감소시킨다. 운전할 때 안전벨트를 매지 않으면 경고음이 계속 울리게 된다. 그 결과 부조 소음이 듣기 싫은 사람은 안전벨트를 안 매는 빈도가 줄어든다. 부적 처벌은 유쾌한 결과를 제거함으로써 행동의 빈도를 감소시킨다. 친구와 자주 싸우는 아이에게 용돈을 압수한다. 그러면 친구와 싸우는 행동이 감소하게 될 것이다.
'사회복지직 공무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아제의 인지발달에서 알아야 할 포인트! (0) | 2022.06.30 |
---|---|
인본주의 학자 매슬로우 & 로저스에 대하여 (0) | 2022.06.30 |
아들러의 개인심리이론 : 열등감과 생활양식 (0) | 2022.06.29 |
융의 분석심리에서 무의식과 자아가 중요하다 (0) | 2022.06.29 |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8단계 (위기/극복) (0) | 2022.06.29 |
댓글